인생의맛

우리나라에서 팁 문화가 생긴다고?(한국 팁문화?) 본문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에서 팁 문화가 생긴다고?(한국 팁문화?)

아빠는야근중 2023. 8. 20. 12:38

미국은 팁과의 전쟁에 빠졌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오히려 팁 문화가 생겨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나보다

미국은 최근 무인 셀프 계산대에서도 팁을 요구한다고 하는데,

코로나 19 이후에 팁을 더 많이 주는 문화가 가속화 되었다고 합니다.

 

 실제 미국 시카고 하키 경기장 선물가게 에서 있었던 일이다.

미국 시카고에 거주하는 대학생 에드워드 아길라는 선물 가게에서 여자 친구를 위한 유니폼을 골랐다.
그런데 계산대 스크린에 기본 팁이 20달러라는 내용이 올라왔다.
에드워드 아길라는 팁이 20달러라는 사실에 어처구니없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종업원과 뒤에서 줄 서 있는 사람들이 모두 자신을 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에드워드 아길라는 전혀 납득되지 않는 팁 액수였지만 결국 지불했다.
말도 안되는 팁이었지만 주변의 따가운 시선에 굴복한 것이다.
에드워드 아길라는 사회적 압력 때문에 공감하지 않는 팁을 줬다며 웃었다.
그는 Social Tax를 냈다며 자기 합리화를 시켰다고 전했다.

 

얼마전 뉴스를 보니 한 피자 배달원이 

피자 배달간 집이 으리으리 한데 팁은 5달러를 줬다고 비아냥거려서 

주문한 사람으로 부터 고소당했다고 합니다.(참고로 피자가격은 20달러 정도 였다고 합니다)

 

이렇듯 오늘날의 팁은 많은 문제를 낳는데요,

 

대한민국에서 팁이 생긴다?

 

한국에 팁 문화가 생긴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팁요구 사진
한국에 팁 문화가 생긴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팁요구 사진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나라에서 팁을 요구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57조 7항의 별표 17에는 식품접객영업자 등이 지켜야 할 준수사항이 나옵니다.

그에 따르면 가격표에는 손님이 실제로 내야 하는 최종 가격을 표기해야 합니다.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57조 7항의 별표 17
2. 즉석판매제조·가공업자와 그 종업원의 준수사항
  라. 손님이 보기 쉬운 곳에 가격표를 붙여야 하며, 가격표대로 요금을 받아야 한다.
7. 식품접객업자(위탁급식영업자는 제외한다)와 그 종업원의 준수사항
  아. 손님이 보기 쉽도록 영업소의 외부 또는 내부에 가격표(부가가치세 등이 포함된 것으로서 손님이 실제로 내야 하는 가격이 표시된 가격표를 말한다)를 붙이거나 게시하되, 신고한 영업장 면적이 150제곱미터 이상인 휴게음식점 및 일반음식점은 영업소의 외부와 내부에 가격표를 붙이거나 게시하여야 하고, 가격표대로 요금을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봉사료가 이미 가격에 반영 되어 있다고 합니다.

굳이 문제거리를 만들필요가 있을까요?

 

정작 팁의 본거지인 미국에서는 없애고 싶어하는 문화라는데....

 

오늘은 팁문화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Comments